피그마 피디아
home
피그마 실무Q&A
home

디지털 소외계층과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글 작성일
2025/07/07
링크
질문 카테고리
데일리콘텐츠
1 more property

1.키오스크(Kiosk)란?

무인 정보 단말기, 사람이 상주해 운영하지 않고 이용자가 직접 조작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자동화 기기

2.키오스크 보급 확대와 같이 커지는 디지털 소외 그림자

키오스크의 대중화로 주문, 결제, 발권, 정보조회 등의 무인화∙자동화했고, 이로인해 효율성이 극대화 될것이라 기대했지만 실제로는 사용이 어려워 불편을 느끼는 소외계층이 발생했어요
편리함을 위해 도입된 기술이지만 어떤 사용자들에겐 장벽으로 느껴질 수 있는 역설적인 현상이 일어났어요

2-1.소외 유형

조작법이 복잡하다
익숙치 않아서 사용 시간이 오래걸리는 것이 눈치보인다
신체적인 장애로 인해 사용하기 어렵다
글씨가 작거나 대비가 두드러지지 않아 잘 안보인다
다양한 이유로 사용에 장벽을 느끼고, 이로 인해 이용을 꺼리게 되는 악순환이 발생해요

2-2.소외 현상 발생 이유

스마트 기기 친밀도 : 고령층의 경우는 스마트 기기 경험이 적고 낯설어 사용에 어려움을 느껴요
물리∙기술적 장벽 : 글씨가 작거나 안내가 부족하거나, 휠체어 이용중에 손이 닿지 않는다거나 화면 방향이 하늘을 보는 경우
지원 및 인식 부족 : 사회적∙정책적인 관심도와 투자가 부족한 현실

3.배리어프리 키오스크

3-1.개념

배리어프리 디자인(Barrier-Free Design)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등 취약계층도 신체적∙사회적 제약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장애인, 고령자 등 디지털 취약계층도 제약 없이 접근∙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키오스크

3-2.필수 요건

높이 기준 : 휠체어 사용자를 위해 높이 기준이 있음
시각 정보 보완 : 시각 장애인 사용자를 위한 점자 안내, 음성 안내, 고대비 모드, 큰 글씨 모드 지원 필요
조작 기능 : 물리 버튼 추가 및 터치 오류 방지 구조
시간 조절 : 응답 대기시간 연장
인식 안내 : 사용 시에 화면/음성 모두 키오스크 기능 인식이 가능해야함

3-3.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의무화 정책

[별첨2]+무인정보단말기+접근성+검증기준+등.pdf
730.6KB

3-4.의무화, 제도적 한계

2025년부터 일정 규모 이상 시설에는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도입을 의무화했는데요. 정책에 대한 관심도도 떨어지고 물량 생산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도입에 난항을 겪어 현재는 유예된 상태입니다
정책 관심도 미비 : 자영업자들도 모르는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의무화 정책이라는 지적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제품의 가격 : 일반 키오스크보다 높은 비용

4.긍정적 사례 : 소외계층을 생각한 키오스크

4-1. Dot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정보의 장벽을 없애는 스마트 키오스크
사회적 약자(장애인, 휠체어 사용자, 노약자 등)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들의 장벽을 없애고자 점자, 촉각 그래픽, 수어, 음성 안내, 큰글씨 기능 등을 포함한 정보접근성을 높여줄 수 있는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4-2.느려도 괜찮아 캠페인

디지털 소외계층들이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천천히 기기에 적응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느린 키오스크 캠페인
서울시 성동구에서 실시한 ‘제3회 생활밀착정책 아이디어 공모전’ 동상을 수상한 시민 아이디어예요